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대회 결과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


1. 시즌1 <탑블레이드>
1.1. 제1회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2001년)
1.1.1. 탑블레이드 한국 대회
1.1.2.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아시아 대표 선발 토너먼트(중국편)
1.1.3.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본선 토너먼트(미국편)
1.1.4. 유럽 대회
1.1.4.1. 탑블레이드 Exhibition 경기(유럽)
1.1.5.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결승 토너먼트(러시아)
2. 시즌2 <탑블레이드 V>
2.1. TBA 팀 vs 사이킥 팀
2.2. TBA 팀 vs 세인트 실즈
2.3. 제2회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2002년)
2.3.1. 8강전
2.3.2. 4강전
2.3.3. 결승전
3.1. 제3회 세계대회 (2003년)
3.1.1. 세계대회 지역 대표 선발 대회
3.1.2. 세계대회 본선
3.1.2.1. 미국 뉴욕 스테이지
3.1.2.2. 이탈리아 로마 스테이지
3.1.2.3. 스페인 마드리드 스테이지
3.1.2.4. 이집트 카이로 스테이지
3.1.2.5. 호주 시드니 스테이지
3.1.3. 세계대회 결승전
3.1.3.1. 2위 타이브레이커
3.1.3.2. 결승전
3.2. Super-5


1. 시즌1 <탑블레이드>[편집]



1.1. 제1회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2001년)[편집]



1.1.1. 탑블레이드 한국 대회[편집]


  • 강민 우승
  • 카이 준우승
  • 레이, 맥스 4강

위 4인이 한국 대표팀 선수로 중국에서 치러지는 아시아 예선 대회에 진출

1.1.2.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아시아 대표 선발 토너먼트(중국편)[편집]


TBA중국팀
제1라운드맥스가오우
제2라운드레이마오
제3라운드강민라이
연장전레이라이
승자TBA

  • TBA 팀 우승 (미국에서 치러지는 세계대회 본선 진출)
  • 중국팀 준우승

1.1.3.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본선 토너먼트(미국편)[편집]


TBAPPT
제1라운드강민스티브
제2라운드레이에디
제3라운드맥스마이클 소머즈
승자TBA

  • TBA 팀 우승 (러시아에서 치러지는 세계대회 결승전 진출)
  • 미국팀 준우승

1.1.4. 유럽 대회[편집]


  • 프란츠 우승
  • 쟈니 준우승
  • 올리비에, 안토니오 4강

1.1.4.1. 탑블레이드 Exhibition 경기(유럽)[편집]

TBA유럽팀
제1라운드레이올리비에
제2라운드카이쟈니
제3라운드강민프란츠
승자TBA

1.1.5.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결승 토너먼트(러시아)[편집]


TBA러시아팀
제1라운드카이세르게이
제2라운드레이보리스
제3라운드강민유리 이바노프
승자TBA

  • TBA 팀 최종 우승
  • 러시아팀 준우승


2. 시즌2 <탑블레이드 V>[편집]



2.1. TBA 팀 vs 사이킥 팀[편집]


TBA 팀사이킥 팀
제1시합맥스
제2시합레이로리
제3시합카이토미
제4시합강민케인
승자TBA 팀

  • 맥스와 짐의 제1시합에서 억지 판정이 등장한다.

현무는 시합 도중 성수 사이버드래셀을 쓰러뜨렸으나, 사이킥 팀에서 경기장에 준비한 복구 장치로 인해 사이버드래셀이 복구된다. 그러나 이는 성수만을 보았을 때의 이야기이고, 드래셀과 팽이 사이버드래셀은 모두 경기장 안에서 계속 돌고 있었으므로 성수가 쓰러졌다는 이유로 경기가 종료될 이유는 없다.
그리고 현무는 성수 사이버드래셀을 한 번 더 쓰러뜨린다. 이 때, 경기장 안에서 돌고 있던 드래셀과는 달리 팽이 사이버드래셀은 경기장 밖으로 튕겨저 나간 상태였다. 팽이 자체는 돌고 있었으나 경기장 밖으로 이탈하였으므로 이는 장외 패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후 성수가 복구되든 어쩌든 간에 이미 장외로 나간 사이버드래셀이 패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현무는 팽이 안으로 다시 돌아오고 맥스도 드래셀을 회수한다.
하지만 복구 장치를 이용해 성수 사이버드래셀을 복구시킨 후 짐이 팽이를 회수하면서 '경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라는 웃음을 짓고, 이후 아주 자연스럽게 재경기가 이루어진다. 심지어 맥스도, 강민 일행도 이에 대해 아무런 이의제기도 하지 않는다. 결국 또 재경기를 하고, 맥스가 패하고 만다. 이는 극적인 장면 연출을 위해 무리수를 둔 것으로 해석된다.

  • 강민과 케인의 제 4시합은 총 3편에 걸쳐서 이루어지는데, 탑블레이드V의 최종 보스전인 강민과 제오의 경기가 총 2편에 걸쳐서 이루어진 점을 고려해보면 중간 보스전이 최종 보스전보다 길게 제작된 굉장히 특이한 케이스이다.[1]

2.2. TBA 팀 vs 세인트 실즈[편집]


TBA 팀세인트 실즈
제1시합맥스마리엘
제2시합카이&레이둥가&알렉스
제3시합강민오즈마
승자TBA 팀
이 경기가 있기 전, 레이는 둥가와의 싸움에서 패하고 백호를 빼앗겼지만, 제2시합 중 백호를 되찾게된다.
마지막 경기가 무승부로 끝난 몇 안되는 케이스인데, 성수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세인트 실즈에서 인정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 승패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2.3. 제2회 탑블레이드 세계 대회 (2002년)[편집]



2.3.1. 8강전[편집]


강민&맥스는 8강에서 대결 예정이었던 케인&짐이 킹&퀸에게 습격을 당해 출전을 포기해 부전승으로 4강 진출.

제오&골드오즈마&둥가
제1라운드골드둥가
제2라운드제오오즈마
승자제오&골드

킹&퀸마리엘&알렉스
제1라운드퀸(&킹)마리엘(&알렉스)
승자킹&퀸
(퀸과 마리엘의 경기 도중 킹이 난입, 그 후 알렉스도 난입하여 2대2 대전이 됨)

카이&레이는 중남미 대표 엑스트라 탑블레이더 2인조와 개인전으로 2:0의 성적을 거둬 4강에 진출하게 된다.

2.3.2. 4강전[편집]


강민&맥스킹&퀸
제1라운드맥스
제2라운드강민
승자강민&맥스

카이&레이제오&골드
제1라운드레이골드
제2라운드카이제오
승자제오&골드


2.3.3. 결승전[편집]


강민&맥스제오&골드
제1라운드강민골드
제2라운드맥스제오
연장전강민제오
승자강민&맥스
  • 강민&맥스 우승
  • 제오&골드 준우승



3. 시즌3 <팽이대전 G 블레이드>[편집]



3.1. 제3회 세계대회 (2003년)[편집]



3.1.1. 세계대회 지역 대표 선발 대회[편집]


한국팀 대표 선발 대회
A 블럭B 블럭
우승강민카이
준우승이둥보태양
  • 강민, 카이, 태양, 교수가 한국팀 대표로 선발되었다.[2]

중국팀 대표 선발 대회
A 블럭B 블럭
우승라이레이
준우승불명불명
  • 라이, 레이 등 백호족 출신 선수들이 중국팀 대표로 선발되었다.

미국 대회
A 블럭B 블럭
우승맥스릭 앤더슨
준우승에밀리 왓슨마이클 소머즈
  • 마이클, 에밀리 등 PPT에 맥스, 릭이 영입되어 PPT가 미국팀 대표로 선발되었다.

러시아 대회
A 블럭B 블럭
우승불명유리 이바노프
준우승불명세르게이
  • 유리, 세르게이 등 보그팀이 러시아팀 대표로 선발되었다. 다만, 팀 이름을 지역 이름이 아닌 '네오보그'로 정했다. 이후 카이를 영입했다.

유럽 대회
  • 블럭 우승자 불명
  • 발테스팀 본선 진출

지역 불명의 대회
  • 상그레팀 본선 진출

3.1.2. 세계대회 본선[편집]



3.1.2.1. 미국 뉴욕 스테이지[편집]

제1 경기
한국팀
0승 1패
중국팀
1승 0패
4인 동시 대결강민&태양레이&라이
승자중국팀

제2 경기
네오보그팀
1승 0패
상그레팀
0승 1패
제1라운드유리 이바노프줄리아 페르난데스
제2라운드카이라울 페르난데스
승자네오보그팀

제3 경기
발테스팀
0승 1패
미국팀
1승 0패
제1라운드클로드릭 앤더슨
제2라운드아론맥스
승자미국팀

  • 공동 1위 네오보그팀, 미국팀[3], 중국팀 - 1승 0패[4]
  • 공동 4위 발테스팀, 상그레팀, 한국팀 - 0승 1패[5]

3.1.2.2. 이탈리아 로마 스테이지[편집]

제4 경기
중국팀
1승 1패
발테스팀
1승 1패
제1라운드레이클로드
제2라운드라이미하엘
연장전레이미하엘
승자발테스팀

제5 경기
미국팀
2승 0패
상그레팀
0승 2패
제1라운드릭 앤더슨라울 페르난데스
제2라운드맥스줄리아 페르난데스
승자미국팀

제 6 경기
한국팀
1승 1패
네오보그팀
1승 1패
제 1라운드태양카이[6]
제 2라운드교수유리 이바노프
연장전태양유리 이바노프
승자한국팀

  • 1위 미국팀 - 2승 0패[7]
  • 공동 2위 네오보그팀, 발테스팀, 중국팀, 한국팀 - 1승 1패[8]
  • 6위 상그레팀 - 0승 2패[9]

3.1.2.3. 스페인 마드리드 스테이지[편집]

제7 경기
중국팀
1승 2패
상그레팀
1승 2패
4인 동시 대결레이&라이줄리아&라울
승자상그레팀

제8 경기
미국팀
2승 1패
네오보그팀
2승 1패
제1라운드맥스카이
제2라운드릭 앤더슨유리 이바노프
연장전릭 앤더슨카이
승자네오보그팀

제9 경기
한국팀
2승 1패
발테스팀
1승 2패
제1라운드태양마틸다
제2라운드강민미하엘
승자한국팀

  • 공동 1위 네오보그팀, 미국팀, 한국팀 - 2승 1패[10]
  • 공동 4위 발테스팀, 상그레팀, 중국팀 - 1승 2패[11]

3.1.2.4. 이집트 카이로 스테이지[편집]

제10 경기
네오보그팀
3승 1패
발테스팀
1승 3패[12]
제1라운드유리 이바노프아론
제2라운드카이미하엘
승자네오보그팀

제11 경기
미국팀
2승 2패
중국팀
2승 2패
4인 동시 대결[13]릭&맥스레이&라이
승자중국팀

제12 경기
한국팀
2승 2패
상그레팀
2승 2패
4인 동시 대결강민&태양줄리아&라울
승자상그레팀

  • 1위 네오보그팀 - 3승 1패[14] : 최소 결승전 타이브레이커 진출 확정
  • 공동 2위 미국팀, 상그레팀, 중국팀, 한국팀 - 2승 2패[15]
  • 6위 발테스팀 - 1승 3패 : 탈락 확정[16]

3.1.2.5. 호주 시드니 스테이지[편집]

제13 경기
발테스팀
1승 4패
상그레팀
3승 2패
제1라운드미하엘줄리아 페르난데스
제2라운드마틸다라울 페르난데스
승자상그레팀

제14 경기
중국팀
2승 3패
네오보그팀
4승 1패
제1라운드라이유리 이바노프
제2라운드레이카이
승자네오보그팀[17]

제15 경기
한국팀
3승 2패
미국팀
2승 3패
제1라운드태양릭 앤더슨
제2라운드강민맥스
승자한국

  • 1위 네오보그팀 - 4승 1패[18] : 결승전 진출
  • 공동 2위 상그레팀, 한국팀 - 3승 2패[19] : 2위 타이브레이커 진출[20]
  • 공동 4위 미국팀, 중국팀 - 2승 3패[21] : 탈락 확정[22]
  • 6위 발테스팀 - 1승 4패[23] : 탈락 확정

3.1.3. 세계대회 결승전[편집]


이전 대회에서 2번이나 우승팀을 배출했던 한국[24]에서 결승전이 치러진다.

3.1.3.1. 2위 타이브레이커[편집]

한국팀
결승전 진출
상그레팀
탈락
4인 동시 대결강민&태양줄리아&라울
승자한국팀
  • 타이브레이커 이후 결승전이 바로 이어서 진행되었다.

3.1.3.2. 결승전[편집]

한국팀
우승
네오보그팀
준우승
제1라운드태양유리 이바노프
제2라운드강민카이
연장전강민카이
승자한국팀
  • 우승 - 한국팀
  • 준우승 - 네오보그팀

3.2. Super-5[편집]


G 레볼루션즈(舊 TBA)TEGA
제1라운드태양밍밍
제2라운드레이모제스
제3라운드맥스미스텔
제4라운드카이브룩클린
제5라운드강민가란드 체트발트
연장전강민불명[25]브룩클린
승자G 레볼루션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8:35:34에 나무위키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대회 결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제 4시합의 케인은 경기 전 사이버 성수의 힘에 정신을 빼앗긴 상태였다가 경기 도중 제정신으로 돌아왔다가 다시 정신을 빼앗기는 등 정신적 갈등의 요소가 계속해서 연출되었기에 보는데 지루함이 느껴지지는 않는 편이다.[2] A 블럭 준우승자인 이둥보는 강진 감독의 권한으로 선발되지 않았다. 이후 카이는 네오보그팀으로 소속팀을 옮긴다.[3] 발테스팀의 작전상 부상 및 기권으로 인해 이미지가 나락으로 떨어졌다.[4] 세 팀 득실 모두 +2[5] 세 팀 득실 모두 -2[6] 강민이 상대로 나오지 않아일부러 장외패했다[7] 득실 +4[8] 네오보그팀/중국팀 득실 +1, 발테스팀/한국팀 득실 -1[9] 득실 -4[10] 미국팀 득실 +3, 네오보그팀 득실 +2, 한국팀 득실 +1[11] 중국팀 득실 -1, 상그레팀 득실 -2, 발테스팀 득실 -3[12] 이 경기의 패배로 발테스팀의 결승 진출이 일찍이 좌절되었다. 이집트 카이로 스테이지에서 탈락이 확정된 유일한 케이스.[13] 이 경기는 미국팀의 릭과 맥스의 불화가 극에 달하면서 미국팀끼리 서로 공격을 하며 스스로 자멸할 분위기였으나, 중국팀의 마오가 중국팀 선수들에게 서로 싸우라고 설득하면서 사실상 1:1:1:1의 개인전이 되었다. 최종 승자는 라이의 가르온.[14] 득실 +4[15] 미국팀/중국팀 득실 +1, 상그레팀 득실 0, 한국팀 득실 -1[16] 6팀 중 유일하게 호주 시드니 스테이지 이전에 탈락이 확정되었다.[17] 만약 다른 모든 경기의 결과가 동일했고 이 경기에서 중국팀이 승리했다면 네오보그팀, 상그레팀, 중국팀, 한국팀이 동시에 3승 2패를 찍어 4팀이서 타이브레이커를 치루는 대참사가 일어날 뻔 했다.[18] 득실 +6[19] 상그레팀 득실 +2, 한국팀 득실 +1[20] 대부분 풀 리그에서 순위를 가리는데 사용하는 득실제를 사용했다면 한국팀의 득실은 +1, 상그레팀의 득실은 +2로 상그레팀이 2위가 되었을 것이다. 득실제가 없다고 해도 플레이오프로 진출하는데 사용되는 방식인 승자승 방식이 적용되었다면 상그레팀이 2위가 되었을 것이었다. 만화 특성상 한국팀을 올리기 위해서 득실제와 승자승 방식을 모두 버린 셈.[21] 두 팀 모두 득실 -1[22] 승자승 방식 적용시 중국팀 4위, 미국팀 5위[23] 득실 -7[24] 당연히 원판에서는 일본[25] 정황상 강민이 이겼겠지만, 설령 졌더라도 TEGA 소속의 선수들을 포함해 TEGA를 응원하던 이들 모두 TBA의 편으로 돌아섰으니 승패 결과가 중요하지는 않다.